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44

전기자동차의 모터는 어떻게 제어할까? (1) | 모터 전류 제어 전기자동차의 모터는 어떻게 제어할까? (1) | 모터 전류 제어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는 크게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 : IM)와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가 있다. 두 모터 모두 3상 교류 전원을 사용하며, 이 3상 교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변화시켜 모터의 토크 및 속도를 조절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IM은 제작이 간단하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어 초기 전기자동차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더 높은 효율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PMSM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내가 공부한 것을 정리할 겸 시리즈 별로 올려볼까 한다. 모터 구동 방법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6개의 스위치가 2.. 2020. 8. 13.
IPMSM과 돌극성(Saliency) IPMSM에서 말하는 돌극성(Saliency)이 뭘까? |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 분석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 (Permanent Mgnet Synchronous Motor : PMSM)을 검색하고 들어오신 분들이라면 각자 관련된 전공책이 있거나 대략적인 지식은 다들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한다. 따라서 PMSM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보단 내가 공부하면서 헷갈렸던 것 위주로 설명해 보려 한다. 표면부착형자석동기전동기 (Surfac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 SPMSM)와 매입형자석동기전동기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 IPMSM).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 넓은 의미에서 두 모터의 차이는 회전자 속 자석의 배치 형태.. 2020. 8. 12.
dq 좌표계 고찰 1 - dq 좌표계는 왜 쓸까? 모터 제어에서 dq 좌표계를 왜 쓸까? | 좌표계 변환 모터 제어를 공부하는 분이라면 교류 전동기를 제어할 때 3상 좌표계에서 dq 좌표계로 변환하여 분석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각 좌표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통해 굳이 좌표변환을 하는 이유를 분석해 보자. 3상 좌표계와 dq 좌표계 먼저 3상 좌표계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3상 교류 전동기의 세 상을 다음과 같이 120도 간격의 좌표축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반면 dq 좌표계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q축이 d축보다 90도 앞서있다.(여기선 dq 좌표계의 n축 개념은 제외하겠다.) 두 좌표계는 다음과 같은 변환행렬을 통해 3상좌표계에서 dq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θ는 3상 좌표계의 a축을 기준으로 dq 좌표계의 .. 2020. 8. 12.
매트랩 수식 관련 함수 모음 매트랩 수식 관련 함수 모음 복잡한 식을 정리하거나 계산할 때 이제 손으로는 풀 수 없는 몸이 되어버렸다. 공대생의 만능 계산기 매트랩으로 풀 수 있게 알아두면 좋은 함수 몇 개를 예시와 함께 소개해본다. 1. 문자 변수 생성 syms 방정식의 변수를 표현하고 싶을 때 쓰면 좋다. syms 다음에 = 을 넣는 실수는 하지말자. syms x1 x2 y = x1 + x2 + 1 2. 방정식 근 구하기, 수식 정리하기 solve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좋다. solve(식, 변수) 형태로 입력하면 된다. syms x f = x^2 - 4 == 0; solve(f,x) 또한 특정 변수에 대해 정리하는 데 써도 된다. 다음은식 f를 x1에 대해 정리한 결과이다. syms x1 x2 f = x1^2 +x2 - 4 .. 2020.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