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6 OrCAD 부품 번호 정리하기 및 리스트 뽑기 OrCAD 부품 번호 정리하기 및 리스트 뽑기 OrCAD로 회로를 구성하면 나중에 바로 PCB 레이아웃으로 설계하기 편하다. 또한 내 PCB에 부품이 몇 개나 필요한지 번호 순으로 정리하여 리스트로 뽑을 수도 있다. - 회로 디자인 룰 체크 우선 그린 회로도가 잘 연결되었는지 대략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회로를 그린 schematic이 존재하는 dsn 파일을 선택하고 아래 그림에서 붉은 박스가 가리키는 'Design rules check' 아이콘을 클릭하자. 그다음 나오는 팝업들에서 Yes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아래 경로는 report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실 확인을 누르면 아래 윈도우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위와같이 나오면 큰 .. 2020. 8. 8. 왜 내 캐패시터는 터질까? | SMD 칩 캐패시터 선정 및 관리 주의사항 왜 내 캐패시터는 터질까? | 캐패시터 선정 및 관리 주의사항 회로에서 가장 많이 단락 사고가 나는 곳은 아마 캐패시터일 것이다. 전압 정격도 여유롭게 잡았는데 왜 자꾸 터질까 고민하던 중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있어 공유하여 본다. SMD 타입의 칩 캐패시터는 다음 그림과 같이 여러 재료들이 단층을 이루는 구조이다. 만약 캐패시터의 층이 깨지게 되면 단락(short)가 일어나게 되는데 보통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특징 상 단락 사고 시 회로에 엄청난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위험하다. 따라서 이 단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자료에서 소개된 몇 가지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자. - 첫 번째로 언급된 내용은 캐패시터를 보관 시 주의사항이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높은 온도 및 습도는 캐패시터 양 .. 2020. 8. 7. PCB 설계 시 고려하면 좋은 점 PCB 설계 시 고려하면 좋은 점 전력전자를 연구하는 연구실 특성 상 직접 PCB를 제작할 일이 많다.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는 진리가 역시 존재하는 험난한 PCB 세상에서 학부 지식만 가지고 무식하게 뛰어들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나의 경험을 여기에 풀어보려 한다. 1. 소자 용량 선정 주의하기 학부 다닐 때는 회로 그릴 때 저항은 저항 값만, 케페시터는 케페시턴스 값만, 인덕터는 인덕턴스 값만 고려하면 되었는데 PCB에는 각각 power 용량도 고려해주어야한다. 이거 고려 안했다가 케페시터에서 불꽃이 팍팍 피어올랐다지... Datasheet의 전압, 전류 용량 잘 확인하고 고르길 바란다. 여기서도 내가 사용할 전압, 전류 용량에 충분한 여유를 잡아 선정하면 좋다. 2. 부하들의 전력 용량보다 여유롭게.. 2020. 8. 5. 매트랩 엑셀 데이터 불러오기 | xlsread 함수 매트랩 엑셀 데이터 불러오기 | xlsread 함수 실험을 하고 메트랩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다보면 엑셀 파일의 데이터 값을 바로 불러오고 싶을 때가 있다. xlsread 함수의 사용법을 다음의 예시를 통해 간단히 알아보자. 우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데이터는 위와 같이 엑셀파일에 기록되어있다. 보시는 바와 같이 파일은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값들이 나열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엑셀에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메트랩의 변수로 가져와서 행렬 형태로 저장하려면 매트랩의 명령창이나 스크립트 창에서 xlsread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data=xlsread('Simulation Data.xlsx',1); 위 코드는 data라는 변수에 'Simulation Data.xlsx'라는 엑셀파일 속 sheet1의.. 2020. 8. 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